반응형
얼마 전에 친정 엄마에게 전화가 와서 에스트로겐 호르몬 치료가 관절통증에 좋다고 들었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암발병 위험이 있다고 어렴풋이 알고 계셔서 정말 괜찮은 치료인지 물어 보셨어요..
결론은,
에스트로겐 호르몬 치료(Estrogen Hormone Therapy, EHT)는 여성 갱년기(폐경) 증상을 완화하는 대표적인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장점과 단점이 모두 있어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1. 에스트로겐 호르몬 치료의 장점
✅ 갱년기 증상 완화
- 안면홍조 및 발한 감소: 갑작스러운 열감(핫플래시)과 야간 발한을 줄여줌
- 질 건조 및 성기능 개선: 질벽을 두껍게 유지하여 건조증과 통증 감소
- 기분 및 수면 개선: 우울감과 불면증 완화
✅ 골다공증 예방
- 폐경 후 급격히 감소하는 골밀도를 유지하여 골절 위험 감소
✅ 심혈관 건강 개선 (일부 여성에서 가능)
- 폐경 초기(50세 이전) 또는 폐경 후 10년 이내 시작할 경우, 동맥경화 예방 및 혈관 탄력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 에스트로겐 호르몬 치료의 단점 및 위험성
❌ 유방암 및 자궁내막암 위험 증가
- 단독 에스트로겐 요법은 자궁내막암 위험을 증가시킴 → 따라서 프로게스테론과 함께 병용 치료가 필요
- 장기 사용 시 유방암 위험 증가 가능성이 있음
❌ 혈전증 및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일부 여성에서)
- 경구제(알약) 형태의 에스트로겐은 혈전(심부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
- 60세 이후 또는 폐경 후 10년 이상 지난 후 시작하면 심장병 및 뇌졸중 위험 증가 가능성
❌ 체중 증가 및 부종
- 일부 여성에서 체중 증가, 유방 압통, 복부팽만 등의 부작용 발생
3. 호르몬 치료가 적합한 경우와 피해야 할 경우
✅ 추천되는 경우
- 50세 이전 폐경
- 갱년기 증상이 심해 삶의 질이 저하된 경우
- 골다공증 위험이 높은 여성
- 심혈관 질환 위험이 낮은 경우
❌ 피해야 하는 경우
- 유방암, 자궁내막암 병력
- 혈전증 병력(심부정맥 혈전증, 뇌졸중 등)
- 심한 간 질환
- 원인 불명의 질 출혈
4. 결론: 호르몬 치료를 어떻게 할 것인가?
✔ 단기간(보통 5년 이내) & 최소 용량으로 사용
✔ 개인별 맞춤 치료 필요 (의사 상담 필수!)
✔ 혈전 위험을 줄이기 위해 패치·젤 형태(경피제) 고려 가능
✔ 유방암 위험이 높다면 다른 치료(항우울제, 식물성 에스트로겐 등) 고려
호르몬 치료는 적절하게 사용하면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부작용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몸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주일에 1kg 감량하기 챌린지 (2) | 2025.03.12 |
---|---|
하지 정맥류 레이저 주사 치료, 고관절 체외 충격파 후기 (0) | 2025.03.07 |
만성 피로와 노화 날리는 건강 식품 TOP 10 (0) | 2025.02.24 |
입냄새, 원인 및 해결 방법 (0) | 2025.02.24 |
민망한 순간, 겨땀 냄새 해결 방법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