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맘 건강

나는 가족 안에서 누구인가 (ft.가족치료)

반응형

40대가 되면서 내가 이룬 가족과 별개로 원가족인 친정 식구들과의 관계에 대해 종종 생각해 보게 되는데요..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문제가 무엇인지 좀더 알게 되고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율해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가족 안에서 각자 어떤 역할을 하며 살아왔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변화가 있으면 좋을지 가족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알아 보았습니다.

 

가족구조이론에서 가족 구성원의 역할은 가족 체계 내에서 각 개인이 수행하는 기능, 책임, 행동 패턴을 의미합니다. 이 이론은 가족을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은 체계로 보고, 각 구성원의 역할이 상호작용하며 가족 전체의 균형과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합니다.

 

주요 개념:
 * 가족 구조 (Family Structure): 가족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 즉 누가 누구와 어떻게 관계를 맺고, 어떤 의사소통 패턴을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보이지 않는 틀입니다. 이는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가족 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합니다.
 * 하위 체계 (Subsystem): 가족 내에서 특정한 기능이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 작은 그룹입니다. 예를 들어 부부 하위 체계, 부모 하위 체계, 형제자매 하위 체계 등이 있습니다. 각 하위 체계는 고유한 규칙과 경계를 가집니다.
 * 경계 (Boundary): 가족 구성원 또는 하위 체계 간의 상호작용 정도를 규정하는 보이지 않는 선입니다. 명확한 경계는 자율성을 존중하며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경직된 경계는 소통 부재를, 혼란된 경계는 지나친 간섭과 의존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위계 구조 (Hierarchy): 가족 내 권력과 권위의 서열을 의미합니다. 건강한 가족은 부모가 자녀보다 더 많은 권한과 책임을 가지는 명확한 위계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의 역할 유형 (일반적인 예시):
 * 부모: 자녀 양육, 보호, 훈육, 경제적 지원 등 가족의 유지와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부모 하위 체계를 통해 권위와 지침을 제공하고 가족의 규칙을 설정합니다.
 * 자녀: 부모의 양육을 받으며 성장하고 발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형제자매 관계 속에서 사회성을 배우고, 가족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립해 나갑니다.
 * 배우자: 서로에게 정서적 지지, 친밀감, 동반자 관계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부부 하위 체계를 통해 가족의 정서적 안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조부모/친척: 때로는 가족 내에서 지지자, 조언자, 또는 갈등의 원인이 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들의 역할은 가족 구조와 문화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금쪽같은 내새끼 출연자 中

역기능적인 역할:
가족의 건강한 기능 유지를 저해하는 역할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역할들은 가족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 희생양 (Scapegoat): 가족의 불안과 갈등의 초점을 받아 비난의 대상이 되는 역할

 * 영웅 (Hero): 가족의 문제를 덮거나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완벽한 모습으로 행동하려는 역할
 * 문제아 (Problem Child): 가족의 관심을 끌거나 불안을 표출하기 위해 문제 행동을 보이는 역할
 * 광대 (Clown): 가족의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익살스러운 행동을 하는 역할
 * 방관자 (Lost Child): 가족 내에서 존재감이 없고 소외된 듯 조용히 지내는 역할

<금쪽같은 내새끼>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다양한 역할을 하는 금쪽이들이 등장하는 것 같아요.

치료적 함의:
가족 구조 이론에 기반한 치료는 가족 구성원 각자의 역할을 이해하고, 역기능적인 역할을 변화시키며, 건강한 가족 구조를 재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치료자는 가족의 상호작용 패턴을 관찰하고, 경계선을 명확히 하도록 돕고, 위계 구조를 재정립하며, 융통성 있는 역할 수행을 장려합니다. 궁극적으로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의 잠재력을 발휘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가족 안에서 나는 영웅 또는 방관자 사이 그 어디쯤...

경계선은 희미한 상태, 아직도 독립해 가는 중..

위계 구조는 부모님에게 권위가 있는 상태.

자매 관계가 좀더 친밀함.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이 있을 때에는 가족 안에서 분화되어 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건강하게 분화하는 방법은 다음 글에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반응형